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장례정보

장례상식

Home > 장례정보 > 장례상식
제례범절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東邦禮義之國]이라 불리어 올만큼 각종 예의 범절이 잘 지켜져 오고 있다.

기제사에 대하여
제례[祭禮]란 조상의 제사를 모시는데 대한 여러가지 예[禮]를 일컫는 말이다.
뿌리없는 나무가 없듯이 조상없는 자손은 있을 수 없다.
나를 낳아 길러주시고 가르쳐주신 선조에 대하여 인륜(人倫)의 도의(道義)로 정성껏 제사를 모시는 것은 자손으로서 당연한 도리인 것이다. 아무리 바쁜 생활에 쫓기는 현대인이지만 일년에 한번 돌아오는 조상의 기일만이라도 보은감사의 마음을 가지고 예를 지킴이 옳다고 본다.

우리의 제례범절[祭禮凡節]이 그렇게 난해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음은그만큼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이 제례를 등한하고 조상에 대한 자손의 도리를 저버린 결과라고 볼 수있다.
흔히들 제사를 모실 때는 많은 음식과 제수를 차려놓아야만 되는 것으로 착각들을 하는데 이는 크게 잘못된 사고로모든 기제사 봉행은 본인의 형편에 따라 정갈하게 진설, 정성껏 지내면된다.

기제의 봉사대상은 제주로부터 五대조까지 모시는것이 일반적인 우리의 풍속이었으나 옛날 권문명가들은 八대조봉사까지 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제사를드리는 시간은 돌아가신 전날 새벽 一한 시경 조용한 때에 엄숙히 드리는 것이 좋다.

제사는 보통 제주의 가정에서 드리며, 대청이나 방 한곳에 제상을 차린다. 그러나 특별한 지위나 사회적인 기제일 경우에는 다른장소를 마련하여 행사한다.

장자나 장손이 없을 때는 차자 또는 차손이 제사를 주관한다. 상처를 한 경우에는 남편이나 그의 자손이 하고, 자손이없이 상부한 경우는 아내가 제주가 된다. 참사자는 고인의직계 자손으로 하되 가까운 친척이나 친지도 참석할 수 있다. 부득이 참사할 수 없는 자손은 자기가 있는 곳에서 묵념으로 고인을 추모한다.

제사의 종류 - 소상, 대상, 담제 외에 시제, 다례, 기제, 묘제등
- 시제 : 철 따라 한해에 네번 종묘에 지내던 제사였으나 현재는 지내고 있지 않다.
- 다례 : 음력으로 다달이 초하루/보름 생일에 간단히 낮에 지내는 제사이며 정월 초하루날의 연시제와 팔원추석에 지내는 절사가 있다.
- 기제 : 돌아가신 날 지내는 제사로, 오늘날 제사라고 불리우는 것이다.
- 묘제 : 시조에서부터 모든 조상들이 묘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로, 대개 한식이나 시월에 날짜를 정하여 지내고 있다. 이밖에도 천신이라는 것이 있는데 철에 따라 새로 나온 곡식으로 만든 음식이나 과일 등을 사당에 올리던 것을 말한다.

제사 지내는 순서



(一) 설위(設位) :
· 참사자(參祀者)가 손을 씻은 다음 진설순서에 의해 제수를 진설하고 참사자가 배열해 선다.

(二) 취신위(就神位) :
· 지방이나 사진을 교의에 모신다.

(三) 분향(焚香)강신(降神) :
· 신위께서 강림(降臨)하시어 음식을 드시도록 청하는 뜻으로 제주(祭主)를 위시하여 모든 참사자가 신위 앞에 선 다음 제주는 꿇어앉아 분향하고 잔이 차지않게 따른 술잔을 우집사 (右執事 = 대개 제주의 子姪이함)로 부터 받아서 모사에 세 번으로 나누어 부은 후에 빈 잔은 우집사에게 건네주고 일어나서 재배한다.

(四) 참신(參神) :
· 참신은 강신을 마친 후에 제주 이하 일동이 일제히 신위를 향하여 재배한다. 신주(神主)를 모시고 올 리는 제사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紙榜)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五) 초헌(初獻) :
· 제주는 강신 때와 같이 꿇어앉아 분향한 후 좌집사로 부터 받은 잔에 우집사가 술을 가득히 부어주면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세번에 기울여 부은 뒤에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이를 받들어 먼저 고위(考位)앞에 올린다. 다음으로 비위(?位)앞에 올리는 잔은 모사에 기울이지 아니하고 그대로 받아서 올리고 저를 고른 후에 재배한다.

(六) 독축(讀祝) :
· 축문 읽는 것을 독축이라 하며 초헌 후에 일동이 꿇어앉으면 제주옆에 앉은 축관이 천천히 크게 축문 을 읽는다. 다 읽고나면 일동은 기립하여 재배한다. 독축은 초헌에 한한다.

(七) 아헌(亞獻) :
· 둘째번 잔을 올리는 것을 아헌이라 하며 주부[주부는 재배가 아닌 사배(四拜)]가 올리는 것이 관례이 나 제주 다음의 근친자가 초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올릴 수도 있다.
(八) 종헌(終獻) :
· 아헌자 다음가는 근치자가 끝잔으로 올리는 것을 종헌이라고 하는데, 종헌자는 잔을 받아서 초헌 때와 같이 모사에 세번 기울였다가 올린다.

(九) 계반삽시(啓飯揷匙) :
· 메 그릇 뚜껑을 열어 놓고 수저를 꽂는 것으로서 이때 수저 바닥이 동쪽(신위를 향해 선 제주 의 오른편)으로 가게하여 꽂는다.

(十) 첨작(添酌) :
· 초헌자가 신위 앞에 꿇어앉아 우집사가 새로운 술잔에 술을 조금 따라주면 받아서 좌집사에게 준다. 좌집사는 이것을 받아, 종헌자가 종헌때 모사에 기울였기 때문에 차지 않은 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첨작하고 재배한다. 첨작을 유식(侑食)이라고도 한다.

(十一) 합문(闔門) :
· 합문이란 참사자 일동이 강림하신 신위께서 진설한 제주 음식을 흠향 하시도록 한다는 뜻으로 방에 서 나온 후 문을 닫는 것을 말하는데 대청에서 제사를 지내는 경우에는 뜰 아래로 내려와 조용히 기다린다.

(十二) 개문(開門) :
· 개문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하는데 제주는 문을 열기전에 우선 기침을 세 번하고 난 후에 문을 열고 들어간다.

(十三) 헌다(獻茶) :
· 숭늉을 갱과 바꾸어 올린 다음 수저로 메를 조금씩 세 번 떠서 말아놓고 저(著)를 고르고 난 후에 참 사자 일동은 잠시 읍(揖)한 자세로 있다가 제주의 기침 소리에 따라서 고개를 든다.

(十四) 철시복반(撤匙復飯) :
· 철시복반이란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둔 다음 메 그릇에 뚜껑을 닫는 것을 말한다.

(十五) 사신(辭神) :
· 참사자 일동은 재배한 다음 신주는 본래의 사당으로 모시고 지방과 축문은 불사른다. 즉 신위와 작 별을 뜻하는 것이다.

(十六) 철상(撤床) :
· 모든 제수를 물리는 것을 철상이라 하며 제수는 뒤쪽에서부터 물린다.

(十七) 음복(飮福) :
·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제사가 끝나는 대로 참사자와 가족 이 모여서 함께 먹을 뿐만 아니라 이웃에 나누어주기도 하고 또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한다.

제물의 종류
유과(油果)또는 엽과(葉果)를 쓴다.
실(果實) 밤, 대추, 곶감, 배, 은행 등을 쓰되 적으면 세 가지, 많아도 다섯 가지 이상은 쓰지 않는다.
포(胞) 문어, 전복 등 마른 고기를 쓴다. 적으면 2가지, 많아도 5가지 이상은 쓰지 않는다.
원래 식혜를 쓰지만 적을 써도 좋다.
좌반(佐飯) 미역, 콩잎 혹은 어육 등으로 만들어 쓴다 .
숙채(熟菜) 익힌 나물은 2가지 내지 3가지를 쓴다.
심채(沈菜) 김치는 2가지 내지 3가지를 쓴다 .
저채(菹菜) 장, 김치를 쓴다.
어물(漁物) 생선을 쓴다.
육물(肉物) 간회(肝膾) 혹은 처녑(牛膾)등을 쓴다.
청장(淸醬) 간장을 쓴다.
떡은 낮으면 다섯 켜, 높아도 일곱 켜 정도만 차린다.
적(炙) 육물, 생선 등으로 만들되 적으면 다섯 꼬챙이, 많아도 일곱 꼬챙이 이상 쓰지 않는다.
만약 일곱 꼬챙이를 쓸 경우에 초헌때 세 꼬챙이,아헌때 두 꼬챙이,종헌 때 두 꼬챙이씩 쓴다.
초(醋) 초를 쓴다.
탕(湯) 육물, 생선, 포, 대합, 홍합 등으로 만들되 단탕(單湯), 3탕, 5탕으로 형편에 따라 쓴다.

제사상 진설법

제사진설의 기본원칙
좌서우동(左西右東) : 신위를 어느 쪽에 모셨든 영위를 모신 쪽이 北이되고 영위를 향해서 우측이 東이며 좌측이 西이다.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과 고기(肉類)를 함께 진설할 때는 생선은 東,고기는 西이다. 따라서 三탕을 쓸 때 어탕이 東, 육탕이 西, 계탕은 중앙에 놓게 된다.
이서위상(以西爲上) : 신위를 향해서 좌측이 항상 상위가 된다. 지방을 붙일 때 考位(아버지)를 왼편 즉 西쪽에 붙이는 이유도 여기에서비롯된다.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색 과실은 동쪽, 흰색 과실은 서쪽에 진설하는 가문도 있다.따라서 홍동백서로 진설하는 가문은 대추가 가장 우측, 밤이 좌측으로 진설한다.
좌포우해(左脯右해) : 포를 좌에, 식혜를 우에 놓는다.

· 과실중 복숭아는 제사에 안쓰며 생선중에서는 끝자가 치자로된 꽁치, 멸치, 갈치, 삼치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 제사 음식은 짜거나 맵거나 현란한 색깔은 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는다.
· 설에는 메(밥)대신 떡국을 놓으며 추석 때는 메 대신 송편을 놓아도 된다.
· 시저(수저)를 꽂을 때에는 패인 곳을 제주의 동쪽으로 메를 담은 그릇의 한 복판에 꽂는다.
· 두분을 모시는 양위 합체 때에는 메(밥)와 갱(국)과 수저을 각각 두벌씩 놓으면 된다.
· 남좌여우(男左女右)라 하여 남자는 좌측 여자는 우측에 모시는 것이 원칙이다.
· 참고로 조(대추)는 씨가 하나로 나라 임금을 뜻하고 율(밤)은 세톨로 삼 정승, 시(감, 곶감)는 여섯개로 육방관속, ·이(배)는 여덟개로 八도 관찰사를 뜻 함으로 조율시이(棗栗枾梨)의 순서가 옳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더 많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북문대로 603 | TEL : 062-951-1004(천사) | FAX : 062-962-0110
copyright (c) 2017 스카이장례식장 All Rights Reserved